[영상뉴스] 달라스 코리아타운 지정 기념식 개최

https://www.youtube.com/watch?v=zZcB5N93Zns 달라스 로열레인 한인상권에 대해 텍사스 주정부와 달라스 시가 코리아타운으로 공식인정한 이후 지난 8월 11일 기념식이 개최됐다. 이날 기념식은 지난 10년동안 코리아타운 공식지정을 위해 노력해온 달라스 한인상공회를 비롯해 달라스 한인회 등 한인단체와 연방하원의원 및 지자체장과 달라스 경찰국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KTN] 달라스 한인타운 재건, 한인사회 하나 되게 하는 모멘텀 될 것

달라스 한인상공회, 한인타운 발전 동포 간담회 개최 달라스 한인상공회(회장 이상윤)가 지난달 28일(금) 동포간담회를 개최했다. 본 간담회는 주 정부에 의해 공식 지정된 한인타운의 미래를 위하여 계획안을 설명하고 발전 방안에 대하여 동포들의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것에 목적을 뒀다. 이날 계획안 설명을 담당한 달라스 한인상공회 김현겸 전 회장은 “연간 30만 명의 유동 인구가 있음을 증빙하는 설문 자료 제출, […]

[TEXASN] 달라스 한인상공회, 한인타운 발전방향 청사진 제시

달라스 로열레인 한인상권을 텍사스 주정부가 ‘코리아타운’으로 인정한 이후 한인타운 발전방향에 대한 구체적 청사진이 나왔다. 달라스 한인상공회(회장 이상윤, 이하 상공회)는 지난 28일(금) 수라식당 2층 소연회홀에서 동포간담회를 개최했다. 상공회는 이날 주정부로부터 공식 인정받은 한인타운을 성공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한인단체장 및 동포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구체적이며 실행가능한 계획을 마련하자고 제안했다. 달라스 한인상공회 이상윤 회장은 간담회에 앞서 “코리아타운을 […]

재외동포재단, 미주한인상공회의소총연합회, 매일경제신문·MBN과 MOU 체결

재외동포재단(이사장 김성곤), 미주한인상공회의소총연합회(회장 황병구), 매일경제신문·MBN(회장 장대환)은 지난달 29일(금) 오렌지카운티 웨스틴호텔에서 “2023년 제21차 세계한상대회”의 성공적 개최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날 MOU 체결식에는 재외동포재단 김성곤 이사장, 미주한인상공회의소총연합회 황병구 회장 및 관계자, 애너하임, 부에나팍, 가든그로브 등 오렌지카운티 지역 주요 시장단, LA 코트라, 기업협회 등 지역 경제단체 관계자 80여 명이 참석했다. 3개 기관은 협약식을 통해 ▲세계한상대회의 성공적 개최를 […]

[기획 I 한국중소기업 미국진출] “창원시 기업들, 텍사스에서 북미시장의 포문 연다”

[인터뷰] 창원산업진흥원 백정한 원장 “ 달라스 한인상공회가 개최한 엑스포에서 제품 홍보 성과” [한국의 창원시는 1970년 초 중화학공업 중심의 국사산업단지와 함께 시작한 기계산업 중심 도시다. 소비재 분야에서도 다양한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우수 기업체들이 많다. 창원산업진흥원(원장 백정한)은 지역내 우수 중소기업들의 글로벌 성장을 주도하고 미주시장 진출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달라스 한인상공회(회장 김현겸)와 상호양호각서를 체결,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해외진출 기반 […]

달라스 한인상공회 “내년 미국 세계한상대회, 적극 협력할 것”

달라스 한인상공회(회장 김현겸)가 내년 미국에서 열리는 세계한상대회 유치에는 실패했지만 최선을 다해 협력하겠다고 다짐했다. 달라스 한인상공회 김현겸 회장은 26일(화) 전현직 회장단 및 임원들에게 ‘2023 세계한상대회 운영위원회’ 참석경과 보고하는 자리에서 “달라스에서 유치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오렌지카운티로 결정됐다. 대회 자체를 유치하지는 못했으나 미주한인상공회총연합회 소속 챕터로서 막중한 책임감을 갖고 최선을 다해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김현겸 회장은 달라스 한인상공회 전현직 회장단 […]

한국산 식품 미국 수출 전년대비 14.4% 증가 … “텍사스, 시장 확대의 전략적 거점”

미국내 한국산 식자재 판매가 지난해 대비 14.4%가 증가했다. 한국과의 거리로 인해 신선식품보다는 보관 및 유통이 쉬운 가공식품에서 눈에 띄는 수출량을 보이며 2021년 15억 달러를 달성, 연간 판매량이 10%이상 증가하고 있다. 여기에 미국에 생산공장을 갖고 있는 한국 식품회사들의 미국내 판매량까지 더하면 ‘K-푸드’ 한국 식품 판매율은 더욱 증가한다. 한국식품 중에서도 김과 라면의 판매율은 가히 독보적이다. 여기에 한국에서 […]